길 길 김용규 끊어짐 없는 너는 참 질긴 검정비단 지평선 너머까지 어우르고 바람가르며 굽은길 적막을 밟고 설레임을 간지른다 정찾아 살비비며 쭈욱 쭉 품은만큼 아슴한 굽이굽이 가슴열고 누빈 연분 넉넉한 전설이 되고 연지빛을 닮은 꼴 더러는 아려오는 백팔번뇌가 파도치고 물결의 세.. ◆나의 시조 작품방 2012.11.07
방실 가는 길 방실 가는 길 김용규 원혼이 머리풀고 곱추춤을 자꾸춘다 통곡이 한이되고 붉은망개 된 저 억겁 눈시울 붉힌 영혼아 시려버린 영혼아 내안의 긴 서러움 그 묻혀진 세월털고 잔잔히 내리쬐는 햇살한줌 보듬어서 그립게 환생하는 날 긴 번민의 살도 풀자 * 방실 : 산청군 금서면 방곡의 또 .. ◆나의 시조 작품방 2012.11.07
언제필까? 언제필까? 김용규 그 여름 꽃은 언제 필까 그냥 그립다 꽃잎이 시리도록 고운 그 모습 덩그러니 아련히 가슴졸이며 품고사는 그리움인데 긴긴날 무더위 먹고 꽃잎하나 다듬더니 그립다 여름날에 넓게펴는 연서처럼 설레며 꿈꾸게하는 꽃시름을 베고산다 ◆나의 시조 작품방 2012.11.07
파도 파도 김용규 하늘끝 아득함에 수평선의 설레임에 청물결 춤추는데 내마음의 돛을 달아 은빛의 파도 품안에 그리움을 그린 유화 펼쳐진 비단 자락 살결은 곱게 익어 춤추는 무희처럼 내비치는 뽀오얀 살 열정은 익어만 간다 노을처럼 햇살처럼 보일 듯 감춘 사랑 설움을 반추하듯 정적에 .. ◆나의 시조 작품방 2012.11.07
뒷골 뒷골 김용규 살포시 내려앉은 꽃 등불의 여백 아래 네 곱고 정갈한 멋 세월따라 무늬되고 머금은 정화수처럼 신의 은총 기쁨이여 못견뎌 갈망하던 그리움의 덩이 안고 산 첩첩 구름 첩첩 아리아리 이불 삼아 순정의 맨살 얼굴로 세월하나 만드는가 에덴의 붉힌 넋이 기쁨하나 산자락 가득.. ◆나의 시조 작품방 2012.11.07
아이들과 함께 아이들과 함께 김용규 마음이 가난하지 않을때의 끈끈함에 기쁨의 전율하나가 가슴켠에 드리우고 따스한 장작불 처럼 타오른다 하늘하늘 살포시 따순정을 베풀수 있는 그것만으로 도옹글 눈망울에 보송보송 윤기 흐를땐 순수의 재잘거림도 마알갛게 눈부시다 땀흘린 그만큼만 새겨나는.. ◆나의 시조 작품방 2012.11.07
산새알 집 산새알 집 김용규 산이슬 비켜물고 되풀어감은 풀잎 섶에 여미듯 별빛가루 향그럽게 나눠 담고서 산새는 바람헤집고 보름달을 보듬는다 고와라 예쁜 것이 심산유곡 닮아낼 즈음 몸굽혀 낮은데로 산빛그늘을 떨쳐내고 수줍게 윤이나는 빛 저 하이얀 꿈의덩이 기우는 햇노을을 고이접는 오목둥지여 눈부셔라 저만치서 건져올린 별천지여 그곳은 아미타의 꿈 파르르르 혼이 핀다 ◆나의 시조 작품방 2012.11.07
용유담 용유담 김용규 전설이 숨을 쉰다 청자빛이 꿈틀댄다 태초의 그리움마저 혼을 담아 용솟음치고 심장이 터질듯함에 산빛 물빛 휘감아돈다 인고의 세월 견디고 부활의 강 다스려 안고 기나긴 인내의 혼 그 정성이 갸륵하구나 에덴의 빗장을 열고 정을 다듬는 어여쁨이여 무당 굿소리에 설움.. ◆나의 시조 작품방 2012.11.07
선녀굴 선녀굴 김용규 이끼낀 큰 바위는 하늘 향해 쭈욱 뻗고 다래순 엉킨 덩굴 원시 닮아 신비로운데 산허리 감긴 안개에 성모천왕 혼이인다 산야를 누빈 여인 정순덕의 흔적 사글고 빨치산 슬픈 사연 세월 아래 잔영되어 산사의 목탁울림에 메아리로 목이멘다 미움이 더 그리워 혼백이 된 주검.. ◆나의 시조 작품방 2012.11.07
촌 촌 김용규 서울엔 사람들이 서울식대로 살자하고 시골에선 촌식대로 흙과 함께 산단단다 가끔은 너스레떨며 더운정도 비벼내고 산과 들 물소리에 어우러진 산자락에 살며시 오욕의 갈망하나 사리우면 파르르 전율이 일때 꽃이되는 뜨락이여 도시는 화려함이 휘어짐에 어지러운데 나긋.. ◆나의 시조 작품방 2012.11.07
어느그리움 어느 그리움 김용규 어스름 저 너머의 마음밭에 삭인 기억 타원을 그리다가 고와지던 그 볼이랑 살포시 우유빛으로 맑은샘을 만들더니 머리칼 비단결처럼 보드랍게 나풀리고 젖어서 윤이나는 그 눈빛 그 고움에 말갛게 눈시울 붉힌 서룬날의 설레임 * 2001년도 월간 문학공간 10월호 발표.. ◆나의 시조 작품방 2012.11.07
오오사카의 화려한 밤거리 일본속 한민족사 탐방팀은 마지막 날 저녁엔 오오사카의 밤 거리를 거닐어 보는 자유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그동안의 빡빡한 일정에서 벗어나 일본속으로 파고 들어가 현재의 일본 문화의 일부를 느껴 보라는 기획팀의 배려였다. 저녁 식사는 개인당 배당된 금액이 1500엔이었다. 우리돈.. ◆일본 여행 2012.11.05
아카시해협 대교 일본속 한민족사 탐방객을 태운 일본선적 후지마루 호는 일본 연안을 저녁 내내 달려도 끝이 안 보였다. 지도에서 보면 대한 해협을 조금 지나 현해탄만 건너면 일본에 닿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개념이었는데 일본 오오사카를 출발하여 한국의 부산까지 24시간 걸리는 거리를 거의 2/3의 .. ◆일본 여행 2012.11.05
일본속 한민족사 탐방을 마치고 2007년 12월 5일부터 11일까지 1주일동안 조선일보 주관 일본속 한민족사 탐방객이 되어 일본에서의 여행은 막을 내렸다. 일본 속에 흩어져 있는 우리 문화유산을 직접 확인하면서 역사 속 한-일관계의 실상을 바로 보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 행사는 특히 2만3천톤급 대형 전용선을 타고 고대.. ◆일본 여행 2012.11.05
거제 섬꽃 축제 현장에서 거제섬꽃축제는 거제면 서정리 소재 거제시농업개발원에서 추운 겨울과 뜨거운 여름을 지나 가을날까지 꼬박 한해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직접 꽃을 길러 작품을 만들어 물을 주고 잡초를 뽑으며 하나하나 손으로 만들어온 진정한 수제(手製) 축제로 인기가 높다. 거제섬꽃축제는 국화꽃 .. ◆아름다운 거제풍경 2012.11.04
가을국화 거제에서 펼쳐지고 있는 섬꽃 축제 현장에서 카메라에 담은 국화의 어여쁜 모습이다. 국화 옆에서/서정주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한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 ◆아름다운 거제풍경 2012.11.04
한지공예 작품들 거제 섬꽃 축제 현장에 전시중인 한지공예 작품들을 카메라에 담아 보았다. 저 할머니 김용규 가을날 호미날이 밭 이랑에 시를 쓴다 그립게 살금쓰고 땀방울로 지우다가 영글은 햇살을 밟고 가을시를 쓰고있다 사알살 배추포기 털어낸 밭 이랑에 기나긴 독백으로 나래펴는 흙의향기에 .. ◆아름다운 거제풍경 2012.11.04
난(석부작, 목부작) 거제에서 개최되고 있는 섬꽃 축제 현장에 전시되고 있는 난 목부작, 석부작 작품들을 카메라에 담아 보았다. 정성과 혼을 담은 멋진 작품들이었다. 카테고리 없음 2012.11.04
[스크랩] 속두류록(김일손) <김일손>의 [속두류록(續頭流錄)] 선비가 나서 박[匏]이나 외[爪]처럼 한 지방에 매어 있는 것은 운명이다. 이미 천하를 두루 구경하여 장래의 가질 것을 저축하지 못할진대, 제 나라의 산천쯤은 마땅히 두루 탐방(探訪)해야 할 것이나, 오직 사람의 일이란 어김이 많아서 노상 뜻을 두.. ◆지리산 고향자료 2012.11.04
[스크랩] 변강쇠전(성두본) 판소리 12마당중 6째 마당인 변강쇠가(가루지기타령)는 가사 내용을 살펴보면 그 주 무대가 함양입니다. 인근 남원에서는 남원이 변강쇠가의 주 무대라고 관광 홍보를 하고 있지만 이는 잘못된 해석이며 가사의 내용중 함양장승, 등구, 마천 백무촌(백무동)등 마천 오도재 가까운 지명이 .. ◆지리산 고향자료 2012.11.04
[스크랩] 고향의 방언 지리산 특히 산청, 함양 그 중에서도 지리산을 끼고 있는 마을에서 많이 쓰였던 경상도 방언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제 나름대로 생각나는 대로 정리를 한 것이기도 합니다. 경상도 방언 중에서 경상도 동부나 남부쪽과는 조금 다른 것도 있고 같은 것도 있을 것입니다... ◆지리산 고향자료 2012.11.04
[스크랩] 사라져 버린 엄천골의 말 지리산은 전북의 남원, 전남의 구례, 경남의 하동, 산청, 함양을 아우르고 있다. 같은 지리산 줄기라도 이쪽과 저 쪽은 거의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지리산이라는 거대한 맥을 형성하고 있었기에 이에 기인된 교통 문제 해결이 어려웠기 때문이었다고 본다. 그 중 엄천골이라.. ◆지리산 고향자료 2012.11.04
[스크랩] 엄천강을 따라 역사의 흔적 찾기 엄천강을 따라 도보나 차량 여행을 한다면 묻혀진 역사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코스가 된다. 엄천강의 대략적인 코스 정리를 한다면 1. 구형왕릉 - 산청군 금서면 화계의 왕산자락에 있는 구형왕릉과 덕양전 답사를 맨 처음으로 하고 화계로 나와서 유림면 화촌에서 좌회전을 하고서 조금.. ◆지리산 이야기 2012.11.04
[스크랩] 투금탄 전설과 휴천면 백연마을, 문정의 이억년선생 묘소 함양군 휴천면 문정에는 백연마을이 있다. 또 옛 문정초등학교 바로 뒷산에는 아주 오래된 묘소 하나가 있다. 700여년이란 세월속에 그동안 묻혀져 오다가 최근에 이 묘소의 종중에서 성역화 작업을 마치고 새 단장을 해 놓았으며 묘비도 새롭게 세워 놓았다. 바로 성주이씨 집안과 관련.. ◆지리산 고향자료 2012.11.04
[스크랩] 함양역사연표 * 다음자료는 함양역사관 홈페이지에서 가져온 자료이며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일목요연하게 함양 관련 자료만을 정리한 함양역사 연표입니다. 이것을 정리하신 김윤수 교수님은 함양의 인산닷컴, 대전대 한문학과 교수님으로 재직을 하고 계시며 함양예총 회장직을 맡고 .. ◆지리산 고향자료 2012.11.04
[스크랩] 산청. 함양 양민 학살사건의 전말 다음글은 지리산 커뮤니티의 최화수님께서 시리즈로 연재하고 계시는 지리마당 코너에서 복사해 온 글입니다. 6.25때 산청군 가현, 방곡, 함양군 휴천면 동강리 점촌, 유림면 서주 마을에서 자행된 양민 학살 사건의 전말이지요. 학살된 사람의 숫자가 정확히 확인된 수가 704명이며, 확인.. ◆지리산 고향자료 2012.11.04
[스크랩] 이억년선생의 묘비 번역문 *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 뒷산에 있는 이억년 묘소의 묘비를 탁본하여 김윤수 교수님께서 직접 번역을 하였습니다. 엄천골짜기에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이 자료는 함양역사관 홈에서 김윤수 교수님의 동의를 얻고서 복사하여 옮겨온 것입니다. *탁본 : 김용규 *번역 : 김윤수 李億年墓碑文.. ◆지리산 고향자료 2012.11.04
[스크랩] 엄천강 이름에 대한 근거자료 현재 국토지리원 표기 지도에 엄천강이 임천강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기에 이를 바로 잡기 위하여 경상남도 도청 도지사에게 바란다 라는 민원을 제기한 근거자료입니다. 이 자료는 함양군청 게시판, 산청군청 게시판에도 함께 올려졌으며 5년전에도 함양군청에 민원을 제기하였으나 아.. ◆지리산 고향자료 2012.11.04
[스크랩] 엄천사 이야기 지리산 커뮤니티(ofof.net)에서 지리산 최화수의 지리산 산책중 최화수님의 글을 퍼옴 지리산 골짝골짝마다 어김없이 사찰이나 암자가 자리합니다. 셀 수 없이 많은 것이 지리산 자락의 사암(寺庵)들이지요. 하지만 지난 세월 오랫동안 지리산에 터를 잡고 있다가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사.. ◆지리산 고향자료 2012.11.04
[스크랩] 엄천사 흥폐사적문 다음은 엄천사를 건립하게 된 배경에 관하여 기록된 엄천사 흥폐 사적문을 김윤수 교수(인산 죽염 김일훈 선생의 셋째)가 번역한 글입니다. 휴천면 남호리 절터의 유래를 보다 정확히 기록한 것으로 휴천면지에도 실어 놓았습니다. 휴천면 남호리 동호마을을 보통 절터 마을로 더 많이 불.. ◆지리산 고향자료 2012.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