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사 ( 寒沙 )강대수 (姜大遂 1591-1658(선조 24효종 9)
조선 중기 문신. 자는 면재(勉哉)·학안(學顔), 호는 춘간(春磵)·한(寒沙)·정와(靜窩). 본관은 진주(晉州). 사간(司諫) 익문(翼文)의 아들이다. 장현광(張顯光)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1610년(광해군 2) 생원·진사시를 거쳐 1612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설서(說書)·사서(司書)를 역임하였고, 이듬해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이 되었다. 1614년 광해군이 영창대군을 죽이자 정온(鄭蘊)이 간언하다가 유배되었는데, 정온을 구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평소에 반목하던 정인홍(鄭仁弘)의 모함으로 삭직당하고 회양(淮陽)에 유배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났고 그 뒤 호조좌랑(戶曹佐郎)·예조정랑(禮曹正郞)·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겸 경연검토관(經筵檢討官)·우승지(右承旨)·병조참의(兵曹參議) 등을 역임하였다. 1651년 전주부윤(全州府尹)이 되어 1년 동안 지낸 다음, 관직에서 물러나 여러 차례에 걸친 임금의 소명에도 불구하고 관도(官途)에 오르지 않았다. 석천서재(石泉書齋)·이연서원(伊淵書院)·덕곡서원(德谷書院)을 지어 유학자들을 양성했다. 저서로 《한사집(寒沙集, 7권 3책)》이 있다. 합천(陜川)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제향되었다.
문충공 점필재 김선생(文忠公 ?畢齋 金先生) 김종직
조선 전기 문신. 자는 효관·계온, 호는 점필재.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말 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의 학풍을 이은 아버지로부터 수학, 후일 사림의 조종(祖宗)으로 문장·사학(史學)에도 두루 능하였으며, 절의를 중요시하여 도학(道學)의 정맥을 이어가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도학사상은 제자인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유호인(兪好仁) 등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김굉필은 조광조(趙光祖)를 배출시켜 학통을 그대로 계승시켰다. 사림학자들이 훈척계열(勳戚系列)의 비리와 비도를 비판하고 나서자, 중국 고사를 인용하여 의제와 단종을 비유하면서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난한 <조의제문(弔義帝文)>을 구실삼아 훈척계열인 유자광(柳子光)·정문형(鄭文炯) 등이 1449년(연산군 4) 무오사화를 일으켜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귀양을 가게 되었고, 그도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하였다. 저서로는 《점필재집》 《청구풍아(靑丘風雅)》 《당후일기(堂後日記)》 등이 있으며, 편저로 《일선지(一善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이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
일두 정선생(一? 鄭先生) , 정여창 선생
탁영 김선생(濯纓 金先生) , 김일손선생
남명 조선생(南冥 曺先生), 조식 선생
*정여창 (鄭汝昌 1450∼1504 (세종 32∼연산군 10)
조선 중기 문신·학자. 자는 백욱(伯勖), 호는 일두. 본관은 하동(河東). 함양(咸陽) 출생.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2대 고족제자(高足弟子)이다.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하였고, 체용(體用)의 학에 밝았으며, 역행실천(力行實踐)을 위한 독서를 주로 하였다. 1483년(성종 14)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유생이 되고, 1490년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소격서참봉이 되었으나 사양하고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 그해 별시문과에 급제하고, 검열을 거쳐 시강원설서로 연산군을 보도(輔導)하였으며, 안음현감(安陰縣監)으로 선정을 베풀었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종직의 문인이라 하여 종성(鍾城)에 유배되어 죽었으며, 1504년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 저서에는 《용학주소(庸學註疏)》 《주객문답설(主客問答說)》 《진수잡저(進修雜著)》 등이 있었으나 무오사화 때 부인에 의해 소각되었으며, 정구(鄭逑)가 엮은 《일두유집》이 있으나 현재는 《문헌공실기(文獻公實紀)》 속에 그의 유집 일부가 전해질 뿐이다. 중종 때 우의정에 추증되었고, 광해군 때 문묘(文廟)에 배향되었다. 나주(羅州)의 경현서원(景賢書院), 상주(尙州)의 도남서원(道南書院), 종성의 종산서원(鍾山書院), 합천(陜川)의 이연서원(伊淵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헌(文獻).
*김일손 (金馹孫 1464∼1498(세조 10∼연산군 4)
조선시대 문신·학자. 자는 계운(季雲), 호는 탁영(濯纓). 본관은 김해(金海).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정여창(鄭汝昌)과 사귀었다. 1486년(성종 17)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사가독서(賜暇讀書)한 뒤 이조정랑(吏曹正郎)에까지 올랐다. 성종 때 춘추관의 사관(史官)으로서 전라도 관찰사 이극돈(李克墩)의 비행을 직필하여 원한을 샀다. 그 뒤 1498년(연산군 4) 《세종실록》을 편찬할 때, 스승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실은 것이 이극돈을 통해 알려져 죽음을 당하고, 다른 많은 사류(士類)도 화를 입었다. 1506년 중종반정 뒤 신원(伸寃)되어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저서에 《탁영집(濯纓集)》이 있으며, <회로당기(會老堂記)> <속두류록(續頭流錄)> 등 26편이 《속동문선》에 전한다. 시호는 문민(文愍).
*조식 (曺植 1501∼1572(연산군 7∼선조 5)
조선 중기 학자. 자는 건중(楗中), 호는 남명(南冥). 본관은 창녕(昌寧). 어려서부터 경사자집(經史子集)을 섭렵하고 천문·지리·의약·병략(兵略) 등에 널리 통했으며, 또한 좌구명(左丘明)·유종원(柳宗元)의 문장과 노장학(老莊學)에 심취, 초탈(超脫)의 경지에 이르렀다. 25세 때 《성리대전(性理大全)》을 처음 읽고 크게 깨우친 바 있어 이후로 유학에만 힘써 대학자로 추앙받았다. 그의 학문목표는 거경집의(居敬執義)를 신조로 반궁체험(反躬體驗)과 거경실행(居敬實行)하는 데 있었다. 중종 때부터 명종·선조 때까지 삼조(三朝)에 걸쳐 그에게 여러 벼슬을 내리고 불렀으나 끝내 나아가지 않고, 지리산 덕천동(德川洞)에서 선비를 모아 강학(講學)에 힘쓰는 등 오직 학문연구와 후진교육에만 힘썼다. 문하에서 오건(吳健)·김우옹·정구(鄭逑)·정인홍(鄭仁弘)·최영경(崔永慶) 등 많은 학자들이 배출되어 한 학파를 형성하였으며, 그의 문인들은 스승의 기상과 학풍에 영향을 받아 대체로 은일적(隱逸的)인 학풍을 지녔고 특히 절의(節義)를 중시하였다. 그의 제자 가운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적과 싸운 사람이 60여 명에 달했다고 하는데, 그 가운데 정인홍·곽재우(郭再祐)·김면(金沔) 등은 3대 의병장으로 꼽힌다. 1615년(광해군 7)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진주(晉州)의 덕천서원(德川書院), 삼가의 용암서원(龍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남명집》 《남명학기유편(南冥學記類編)》 등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
'◆지리산 고향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함양 비지정문화재 (0) | 2012.12.04 |
---|---|
[스크랩] 새 교과서에 등장하는 문정의 이억년선생 관련 내용 (0) | 2012.12.04 |
[스크랩] 용유담에 있는 김일손, 정여창, 조식, 김종직 선생의 각자 사진자료 (0) | 2012.12.04 |
[스크랩] 문정에 있는 투금탄 전설의 주인공 이억년 선생 관련 자료 (0) | 2012.12.04 |
[스크랩] 용유담과 마적도사의 전설 (0) | 2012.12.04 |